이동 삭제 역사 ACL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(r1 문단 편집) [오류!]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=== 광양자 가설 === [[나무파일:external/sci.esa.int/Figure_5_photoelectric_effect.jpg]] 1902년 [[광전효과]]라는 독특한 현상이 보고된다. 이 효과는 기존의 빛에 대한 개념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것이었다. 오래전부터 빛의 본성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꾸준히 있어 왔으며, 파동설과 입자설이 서로 경쟁해왔다. 근대에는 [[이중 슬릿 실험|빛이 슬릿을 통과하여 보이는 회절-간섭 무늬 패턴]]이 빛이 파동이라는 확실한 증거로 나타남으로써, 빛은 파동이라는 것이 정설로 자리잡게 된다. 그러나 아인슈타인은 [[광전효과]]의 실험데이터를 기존의 빛에 대한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. 그는 이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[[광자|광양자]]라는 개념을 도입한다. [[광양자 가설]]은 [[빛]]의 에너지가 양자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한 것으로, 현재는 [[광자]](Photon)라고 명명되었다. 이것은 이후 [[양자 역학]]을 이뤄내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.정확히 말하자면, 플랑크의 양자가설을 바탕으로 해, 빛에는 일정한 에너지 단위, 양자화 된 무언가가 있는데, 그것이 빛에게 입자적 성질을 가지게 한다고 했다.(E= n hf, n= 정수배) 양자화 된 그 무언가를 그는 '광양자'라고 불렀으며 빛은 광양자들의 모임이라고 보았던 것이다. 아인슈타인은 [[광전효과]]로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다. 이는 빛이 파동이라고 생각했던 기존의 학설을 반박함과 동시에, 이 가설에 사용되었던 플랑크 양자가설을 더 굳건하게 하였다. 빛이 가지고 있는 이중성을 거의 못박은 셈. 이 이론은 많은 물리학자들에게 아이디어를 제공했다. 대표적으로 드브로이가 있는데, 그는 빛이 가진 파동과 입자의 ""이중성""에 자극받아 ""혹시 우리가 입자라고 생각했던 전자가 파동이 아닐까?""라는 것을 느끼고 나온 것이 [[물질파 이론|물질파]]다. 또 슈뢰딩거 역시 그의 물질파 개념에 영향을 받아 전자를 파동함수로 기술하는 [[슈뢰딩거 방정식]]을 제안하게 된다. 플랑크의 흑체복사이론과 함께 [[양자역학]] 태동의 도화선으로 작용한 셈. 흔히 [[상대성 이론]]만을 알고 있는 일반 대중에게는 익숙하지 않지만, 물리학이나 전자공학 등에 조금만 손 대기 시작하면 정말로 중요한 개념임을 알 수 있다. [[양자역학]]뿐 아니라 LCD, LED 등 디스플레이 소재 등의 발광소자 등의 기본원리이며, 이미 20세기 초반에 현대 물리의 가장 중요한 개념인 '''기본 입자'''중 하나인 [[광자]]라는 입자를 규명했다는 것에서 그 중요성은 절대로 [[상대성 이론]]에 뒤지지 않는다.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,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-NC-SA 2.0 KR에 따라 배포되며,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. 또한,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.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3.137.150.11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 저장